안녕하세요 플러스 울트라입니다.
평상시 아주 많이 사용하는 가주어 구문과 it ~ that~ 강조 구문의 문법적 원리를 알아보도록 하겠씁니다.
먼저 가주어의 원리를 먼저 보시조!
1. 명사절(종속절)혹은 명사구가 주어로 사용되어 주어가 길다!
2. 대부분 주어에 비해 서술어(동사+보어)가 짧다.
3. 대부분 명사절(주어)+ 동사 + 보어 형태의 2형식 문장에서 자주 사용한다.
이 아주 자주 사용되는 구문이니 꼭 알아 둘 필요가 있는 문장 패턴(구문)입니다.
가주어는 주어가 명사절이나 명사구인 경우 사용하는 구문입니다.
명사구와 명사절의 유형을 아직 이해를 못하셨다면 이전 포스팅 "명사절 완전정복!!" 과 "동명사와 to부정사의 차이점" 포스팅을 빠르게 참고해보시길 추천 드립니다.
가주어 구문에서는 언듯 it이 주어 처럼 보이지만, it은 가주어로서 본동사의 수식을 받지 않는 다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는 풀어서 해석해보면 의미가 더욱 명확해집니다.
예문을 보며 언제 어떻게 가주어를 사용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That they love each other is obvious -> It is obvious that thay love each other
그들이 서로 사랑하는 것은 분명해.
뜻은 동일 합니다. 어떤 방식으로 표현하든 문법적으로 오류가 없습니다.
문어체에서는 후자인 가주어 문장을 압도록으로 많이 사용합니다. 구어체에서도 후자를 많이 사용하긴 합니다.
하지만 주어인 명사절을 강조하고 싶은 경우, 가주어를 안 쓰고 주어를 먼저 말하곤 합니다.
주어를 강조하듯이 긴 주어를 굳이 먼저 말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친구 1 : I am not sure if they still have feeling for each other.
그들이 아직 서로의 대한 감정이 남았는지 아닌지 잘 모르겠어
친구 2: What ? Are you blind? THAT THEY LOVE EACH OTHER is so obvious !!
뭐라구?? 눈이 멀은거야? 그들이 서로 사랑한다는 건 너무 분명해.
이런 식으로 강조를 할 때는 긴 주어를 굳이 먼저 말하며 강조해 주기도 합니다.
하지만 굳이 그럴 필요가 없다면. 주로 가주어 문장을 사용합니다.
명사절 that절
It makes sense that they left the party so soon. -> That they left the party so soon makes sense
그들이 파티를 일찍 떠난 것은 이해가 가는 일이야.
명사절 whether절
It is uncertain whether they will attend the party or not. -> Whether they will attend the part or not is uncertain
그들이 파티에 참석할지 잘 모르겠어.
명사절 의문사명사절
It is in the morning when he ate his apple. -> When he ate his apple is in the morning
그가 사과를 먹은 때는 아침이다.
It is not easy to get up early in the morning
아침에 일찍 일어나는 것은 쉽지 않다.
It was hard playing soccer in the rain.
비속에서 축구를 하는 것은 힘들었다.
it that 강조 구문은 문장의 한 품사를 강조하기 위해서 사용합니다.
The doctor saved me yesterday.
->It is the doctor who(thath) saved me -> 주어를 강조하고 that 절 이하는 주어가 없는 불완전한 문장
바로 이 의사가 어제 저를 구했습니다.
->It is yesterday that the doctor saved me. -> 부사를 강조하니 that절 이하는 완전한 문장
바로 어제 이 의사가 나를 구했습니다.
->It is me that the doctor saved yesterday. -> 목적어를 강조하니 that절 이하는 목적어가 없는 불완전한 문장.
바로 나를 이 의사가 어제 구했습니다.
이렇게 강조 구문은 문장의 한 가지 품사를 강조합니다.
주어를 강조하면 that절 이하에 주어가 빠지고. 목적어를 강조하니 that절 이하는 목적어가 없습니다.
1. 주어나 목적어가 강조 되었을 경우 that절 이하는 불완전한 절이 온다.
->It is me that the doctor saved yesterday (목적어 강조구문)
-> that 절이하에 save의 목적어가 없습니다. ^^ 강조구문 원리를 보시면 쉽게 이해가 되시죠?
2. 부사가 강조된 경우 완전한 절이 온다. 이럴 경우 풀어 써서 말이 되는지 확인한다.
->It is yesterday that the doctor saved me. (부사 강조)
->That the doctor saved me is yesterday. -> 의사가 나를 구했다는 것은 어제이다. (의미상으로 말이 되지않습니다^^)
결론적으로 부사가 강조된 경우는 주절을 앞에 다시 놓고 해석을 해서 의미를 봐야 합니다.
해석의 문제이니 만큼 시험문제에서는 주어나 목적어가 빠진 강조문과 가주어구문의 차이를 찾는 문제가 많이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토익 영문법. 의문사 불완전한 절과 완전한 절 비교. 의문사가 주어? (7) | 2021.05.21 |
---|---|
토익 영문법. will/ be going to / will be v+ing 미래 시제 차이점 (1) | 2021.05.20 |
토익 영문법. 전명구의 형용사 용법과 부사용법 구별하기! FEAT 전치사 및 분사전치사 (0) | 2021.05.13 |
토익 영문법. 명사절. 불완전한 절과 완전한 절의 원리! (0) | 2021.05.12 |
토익 영문법. to 부정사 형용사적 용법과 부사적 용법 구분하기 !! (0) | 2021.05.11 |